시골의 오래된 집들은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.
벽은 갈라지고, 지붕은 비가 새지만
“리모델링하기엔 돈이 너무 많이 들어서”
그냥 참고 사는 분들이 많죠.
이런 분들을 위해 정부가 마련한 제도가 바로
**‘농어촌 주택개량 지원사업’**입니다.
이 제도는 단순한 융자가 아니라,
“농촌의 삶의 질을 높이는 주거복지 정책”이에요.
💡 농어촌 주택개량 지원사업이란?
이 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어촌공사(KRC) 가 추진하는
농어촌 지역 주민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저리 융자제도입니다.
즉, 낡은 농가를 개축·보수하거나 새로 짓는 경우
정부가 최대 2억 원까지 저금리(연 2%)로 융자 지원을 해주는 제도예요.
👩🌾 지원대상
| 구분 | 주요 조건 |
|---|---|
| 기본대상 | 농촌지역에 거주하거나 귀농·귀촌 예정인 자 |
| 주택형태 | 노후주택 개량 또는 신축 희망자 |
| 토지소유 | 본인 또는 배우자 명의의 대지 보유자 |
| 추가대상 | 무주택자, 귀농귀촌인, 다자녀 가정 우선지원 |
💬 도시에서 귀촌을 준비 중인 사람도,
농촌에 토지를 소유하고 있으면 신청 가능합니다.
💰 지원내용
| 구분 | 지원항목 | 금액/조건 |
|---|---|---|
| 신축 | 농어촌주택 신축 비용 | 최대 2억 원 |
| 개량 | 노후주택 리모델링·증축 | 최대 1억 원 |
| 금리 | 연 2% 고정금리 | |
| 상환기간 | 20년(5년 거치, 15년 상환) | |
| 담보 | 해당 주택 또는 토지 담보 설정 |
💡 다른 대출보다 금리가 낮고, 상환 기간이 길어
농촌주민에게 가장 부담이 적은 주택지원제도입니다.
🏠 신청 방법
1️⃣ 거주지 시·군청 건축과 또는 농어촌공사 지역본부 방문
2️⃣ 주택개량 신청서 및 사업계획서 제출
3️⃣ 현장조사 및 설계검토
4️⃣ 사업승인 후 농협·지역은행을 통해 융자 실행
💬 사업은 연초에 예산이 한정돼 진행되므로,
1~2월 중 신청이 가장 유리합니다.
🌿 실제 사례
전북 정읍에 사는 68세 농부 박모 씨는
40년 된 구옥에서 지붕 누수로 불편을 겪고 있었습니다.
‘농어촌 주택개량 지원사업’을 통해
1억 원을 저리로 융자받아 새 지붕과 단열공사를 마쳤죠.
“겨울에 이렇게 따뜻한 건 처음이에요.”
그의 말처럼, 이 제도는 단순한 건축사업이 아니라
삶의 질을 높이는 복지정책입니다.
⚠️ 유의사항
- 도시지역은 지원대상에 포함되지 않음
- 신축 시 건축허가 필수, 무허가 건물은 지원 제외
- 사업 완료 후 3년 이상 거주 의무
- 동일 세대 내 중복지원 불가
- 매년 예산소진 시 조기 마감
💬 귀농·귀촌인이라면 ‘귀농인 주택자금 지원사업’과 중복 검토 가능합니다.
🌈 마무리하며
‘집’은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삶의 기반입니다.
정부의 농어촌 주택개량 지원사업은
그 기반이 무너지지 않도록 지켜주는 제도입니다.
오래된 시골집을 고치고 싶지만
비용 때문에 미뤄왔다면,
이 제도를 꼭 한 번 살펴보세요.
작은 보금자리 하나가
당신의 노년을 따뜻하게 바꿔줄 수도 있으니까요. 🌾
💬 참고 사이트
- 한국농어촌공사: www.ekr.or.kr
-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정책과: www.mafra.go.kr
- 복지로 주거지원 서비스: www.bokjiro.go.kr